공식교재와 함께 공부하기~

중국어 기초 완벽 뽀개기 & 중국어 한마디 따라쓰기 노트 

https://goo.gl/BCHBqp  (클릭)



오늘의 중국어 공부 
 
"不vs 没有 둘 다 부정인데 어떨 때 뭘 쓰지?" 입니다. 



공식교재와 함께 공부하기~

중국어 기초 완벽 뽀개기 & 중국어 한마디 따라쓰기 노트 

https://goo.gl/BCHBqp  (클릭)

'외국어습관 > 왕초보 5분 기초 중국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띵호와가 무슨 뜻이야?  (0) 2018.10.08
안녕, 잘지내?  (0) 2018.10.02
중국어 발음1. 자음 첫번째  (0) 2018.10.01
[중국어 한마디_15] 더치 페이  (0) 2016.08.12
9강_ 그, 그녀  (0) 2016.08.11

공식교재와 함께 공부하기~

중국어 기초 완벽 뽀개기 & 중국어 한마디 따라쓰기 노트 

https://goo.gl/BCHBqp  (클릭)


중국어 발음1. 자음 첫번째  
 


자, 오늘부터는 본격적으로 
중국어 발음공부를 시작해 볼까요? 
자, 입술을 풀고 큰 소리로 같이 따라하면서
공부해 주세요~  





공식교재와 함께 공부하기~


중국어 기초 완벽 뽀개기 & 중국어 한마디 따라쓰기 노트 


https://goo.gl/BCHBqp  (클릭)



더치 페이

A A

A A zhì 

에이 에이 즈

 

함께 식사하고 각각 부담하는 Dutch pay 라는 말은 16~17세기 네덜란드 사람들이 세계 각지를 항해하며 한번 만난 사람을 다시 만날 기약이 없으니 각자 비용을 부담하는 습관에서 영어 go Dutch 라는 용어로 남았다고 하네요.


중국어로는 各付各的(각자 각자것 내기)라고 하면 되겠는데, “AA란 관용어로 말하기도 합니다.

AA라는 말이 Algebraic Average (대수적 평균)의 약자니, All Apart(모두 나누기)의 약자니, 혹은 홍콩에서 유행한 영어 each each 의 소리 축약형이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재미난 사실은 AA자체는 중국사람에게 어울리지 않는 계산방법이지만, 上海方言에는 劈硬柴 pǐ yìng chái(장작을 패다)” 라고 하여 각자 계산하는 용어로 쓰인다고 합니다. 조금은 독특한 상해 사람들의 습관이라고 봐야 할까요?







9강_ 

그, 그녀


인칭대사.

우리말은 나와 너를 많이 쓰고 라는 표현은 잘 안씁니다. 우리가 보통 아빠계시니?’ 라고 물으면 아빠 안계신데요.’ 또는 안계신데요라고 말하지만, 중국어에서는 아빠를 물어보는 말에 대한 대답으로 아빠를 다시 쓰지 않고, 그 대신에 라는 말로 응대하고, 역시 엄마라는 말은 그녀라는 말로 받습니다.

 

1인칭 나 wǒ []

2인칭 nǐ [] 당신 nín []

 

3인칭 그와 그녀 표현에 대해 알아볼께요.

 

tā []

tā [] 그녀

글씨도 이쁘고 소리도 참 이뻐요.

외국어로 중국어를 대하는 우리에게 실은 1성이나 4성이 편해요.

 

3인칭은 그냥 1성으로 ~~’ 음계로 빼면 됩니다.

-’ 이 뭔데요?

동요 <산토끼> 처음 시작할 때 [-] 계이름 높이로 쭉 빼라구요.

그녀도 그도 모두 [-]

 

한자 그를 나타내는 글자 - 는 우리도 자주 쓰는 글자이고, 여성 그녀 - 는 남성 그가 있고 그 이후에 만들어진 글자인 듯 합니다.

한자 여자 여()’가 들어가 있습니다.

 

그는 본다.

그는 봅니까?

그는 안봅니다.

그녀는 먹습니까?

그녀는 안먹습니다.

이런 말들을 할 수 있겠지요.

 

바로 총정리 표현으로 들어갑니다.

오늘 배운 표현 총정리 >

 

그는 잘 지내나요?

그는 아주 잘 지내요.

그녀는 봅니까?

그녀는 안봅니다.

그는 안먹어요?

그는 마십니다.

그녀는 안마셔요?

그녀는 마십니다.

그는 큽니까(나이가 많아요)?

그는 매우 큽니다.

 

-----

 

그는 잘 지내나요? 他好嗎? Tā hǎomȧ? [타 하오 마]

그는 아주 잘 지내요. 他很好Tā hěn hǎo. [타 헌 하오]

그녀는 봅니까? 她看嗎? Tā kàn mȧ? [타 칸 마]

그녀는 안봅니다. 她不看 Tā bú kàn. [타 부 칸]

그는 안먹어요? 他不吃嗎? Tā bù chī ma? [타 뿌 츠 마]

그는 마십니다. 他喝Tā hē. [타 허]

그녀는 안마셔요? 她不喝吗? Tā bù hē ma?̇ [타 뿌 허 마]

그녀는 마십니다. 她喝Tā hē. [타 허]

그는 큽니까(나이가 많아요)? 他大嗎? Tā dà mȧ? [타 따 마]

그는 매우 큽니다. 他很大Tā hěn dà. [타 헌 따]




싼게 비지떡

一分钱一分货

yì fēn qián yì fēn huò 

이펀 치앤 이펀 후오

 

중국에서 제일 낮은 화폐단위가 입니다. 거의 우리의 일원짜리로 생각하면 됩니다. 그 일원짜리로 살 수 있는 물건이 오죽 할까요. 그래서 가치 없고 볼품없는 싸구려 물건을 一分钱一分货로 표현합니다. 우리는 싼게 비지떡이라고 하는데 비지는 두부 만들고 남은 찌꺼기를 말합니다. 거기에 쌀가루나 밀가루를 넣어 만든 떡이 비지떡인데 맛도 없고 영양가도 없다고 합니다. 배고팠던 시절에 굶주림을 면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먹었던 것입니다. 하지만 그것은 배가 고프지 않다면 거들떠보지도 않았을 볼품없는 먹거리였던 셈이지요.


싼게 비지떡을 중국어로 옮길 땐 일원짜리 물건이 다 그렇지라는 一分钱一分货로 옮겨 주세요.





8강_ 

잘 지내셨어요. 

네 아주 잘요. 

잘 가. 

안녕히 계세요.


안녕. 你好 nǐ hǎo

안녕하세요. nín hǎo

이 둘이 중국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인사말입니다.

아무 때고 아무데서나 아무한테나 사용가능합니다.

대답은?

그냥 그대로 따라 하면 됩니다. 이보다 쉬운 회화가 없어요.

 

그 런 데 !!!

이 표현이 의문문으로 바뀌게 되면 그 대답이 달라집니다.

먼저 물어보는 의문문 만드는 방법은?

이젠 이 정도는 껌이지요...

 

? nǐ hǎomȧ? [니 하오 마]

? nín hǎomȧ? [닌 하오 마]

 

잘 지내냐고 물어보고 있어요. 그럼 잘 지낸다고 대답해줘야 합니다.

그 대답은

로 물어봤으니 로 대답해야겠지요.

그리고 좋냐고 물어봤으니 좋다고 대답해야겠구요.

 

A : ? nǐ hǎomȧ? [니 하오 마]

B : 我好wǒ hǎo. [워 하오]

 

A : ? nín hǎomȧ? [닌 하오 마]

B : 我好wǒ hǎo. [워 하오]

 

중국어 인사에 대한 위의 대답은 틀린 답입니다.

중국 사람들은 너 잘지내?’ 라고 물어보면 나 잘 지내라는 수준을 넘어 나 매우 잘 지내라는 매우라는 말을 꼭! 넣어주게 됩니다.

hěn [] 매우라는 말은 정도 부사라 형용사 술어 앞에 오구요.

 

A : ? nǐ hǎomȧ? [니 하오 마]

B : wǒ hěn hǎo. [워 헌 하오]

 

A : ? nín hǎomȧ? [닌 하오 마]

B : wǒ hěn hǎo. [워 헌 하오]

 

 

회화책 펼치면

첫인사인 안녕하세요와 함께 처음 잘 등장하는게 헤어질 때 인사이지요.

중국어에선 헤어질 때 다시 만나자는 말로 인사합니다.

zài [짜이] 다시

jiàn [찌앤] 만나다.

 

짜이 와 찌앤에서 발음요.

앞에선 z j 이네요.

j 는 설면음이라고 하여 혀의 면에서 나오는

z 는 설치음이라고 하여 혀끝과 치아 뒤에서 나오는 입니다.

쌍자음인 로 소리나는 건 성조 영향입니다. 4성이 강하잖아요.

 

그리고 jiana [] 로 날 때와 []로 날 때가 있는데....

ian 에서는 []가 아닌 []로 소리가 난다고 했지요.

 

재방송할 때의 다시 재자이고, 볼 견()’의 간체자입니다.

그래서 다시 보자는 말이지요.

안녕. 잘 가. 잘 있어. 또보자. 꺼져버려... 등 모두 쓰일 수 있는 단어입니다.

(‘꺼져버려는 다른 표현이 있어요... 사실은요. 그냥 헤어질 때 쓰는 말이라고 강조하려고 덧붙여 놓은 것입니다.)

잘가. 再見 zài jiàn [짜이 찌앤]

잘있어. 再見 zài jiàn [짜이 찌앤]

안녕히 가세요. 再見 zài jiàn [짜이 찌앤]

안녕히 가세요. 再見 zài jiàn [짜이 찌앤]

 

헤어질 때의 인사말은 보내는 사람, 떠나는 사람 모두 해당됩니다.

이 또한 아무데서나 언제나 누구에게나 사용 가능합니다.

나중에 다시 안만날 사람에게도 사용가능하고, 전화 대화에서도 사용가능하고요.

 

再見

 

 

 

오늘 배운 표현 총정리 >

 

너 잘 있었니?

전 잘 있어요.

안녕하셨습니까?

네 잘 있어요.

잘가.

잘있어.

안녕히 가세요.

안녕히 가세요.

 

-----

 

너 잘 있었니? 你好嗎? Nǐ hǎo mȧ? [니 하오 마]

전 잘 있어요. 我很好Wǒ hěn hǎo. [워 헌 하오]

안녕하셨습니까? 您好嗎? Nín hǎo mȧ? [닌 하오 마]

네 잘 있어요. 我很好Wǒ hěn hǎo. [워 헌 하오]

잘가. 再見Zài jiàn. [짜이 찌앤]

잘있어. 再見Zài jiàn. [짜이 찌앤]

안녕히 가세요. 再見Zài jiàn. [짜이 찌앤]

안녕히 가세요. 再見Zài jiàn. [짜이 찌앤]  



화이트칼라 노예

白奴

bái nú 바이 누

 

미국 노동장관을 지낸 로버트 라이시의 부유한 노예(원제 : The Future of Success)라는 책이 있습니다. 아침부터 저녁까지 먹고 살기위해 바삐 움직이지만 그 먹고 삶을 위해 노예가 된 것은 아닌지. 그러면서 "생계를 꾸려갈 것인가? 삶을 꾸려갈 것인가?" 라는 화두를 던집니다.

중국어에 흰 노예(白奴)’라는 표현이 있습니다. 화이트칼라로 근무하면서 더 좋은 집과 자동차 그리고 더 풍족한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노예처럼 예속된 직장생활을 한다는 말입니다. 우리도 흰노예, 푸른노예, 차노예, 카드 노예 등으로 번역해 볼까요?


7강_

당신

안녕. 안녕하세요.



풀이말 술어에 대한 주어를 알아 봤었지요. 주어에서 나와 너를 술어 앞에 넣어, 내가 ~를 하고, ~ 하기도 하며, 너는 ~하고, ~ 이다 라는 표현을 해봤습니다.

외국인이 한국어를 할 때 어려운 점 하나가 높임말 따로 평이한 말 또따로 낮춤말 표현도 있다는 겁니다.

높임말 - 중국어에도 있을까?

중국어도 있긴 있지만 우리말처럼 복잡하거나 많지 않습니다.

가장 대표적으로 를 나타내는 주어자리에 의 높임말에 해당되는 당신을 갖다 붙이면 됩니다.

(사실 당신이 우리말로 높임말인지는 모르겠지만, 우리말로 마땅히 번역할 게 없어 그렇게 할 뿐입니다.)

 

nǐ []

당신 nín []

 

너의 높임말인 당신 nín 은 의문문에서 많이 사용되고, 의문문이 아닌 평서문의 경우엔 인사말에 아주 많이 사용됩니다.

중국어로 인사말 - 안녕하세요?

세상 모든 사람들이 아는

你好 nǐ hǎo [니 하오] 이지요.

이 말은 아무 곳에서나 아무 때나 아무에게나 쓸 수 있는 말이고,

여기에 좀 격을 높인 말이

nín hǎo [닌 하오] 입니다.

 

이렇게 기억합니다.

안녕 hǎo

안녕하세요. nín hǎo

 

여기서 잠깐>

好嗎? hǎomȧ? [하오 마]

冷嗎? lěngmȧ? [렁 마]

小嗎? xiǎomȧ? [시아오 마]

발음할 때 앞의 3성을 가볍게 소리내라고 했습니다. 그것을 반3성이라고 딱! 한번 언급했었는데 잊었겠지요...

어쨌든 이 3성이 다른 성조 앞에 오면 그 성조가 변합니다.

중국어는 성조가 아주 조금 아주 조금 아주 조금 변하는 경우가 있다고 했지요...

이 그렇고, 앞에 오는 3성이 그렇습니다.

 

앞에오는 3성 발음

우리말의 <신라> 한 번 읽어 보세요. <실라> 라고 읽잖아요. ?

편하닌까. 중국어도 그렇습니다.

성조중에 내려갔다가 다시 올라가는 제3성의 경우 뒤에 몇성이 오냐에 따라 그 성조가 변합니다.

내려갔다 올라가는 성조대로 소리내면 숨이 차서 뒤음으로 연결하기 벅찬가 봐요.

그래서 앞에 오는 3성을 크게 변하지 않는 범위에서 뒤음으로 연결 편하게 읽어줘요.

3성 뒤에 3성이 아닌 다른 성조가 오면 앞에 3성은 3성의 내려가는 부분만 약하게 발음한다하여 --- 이것을 반3성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제3성이 뒤에 3성을 데리고 오면 앞에 오는 3성은 2성으로 변합니다.

어렵지요? --- 제가 <신라>에서 언급한 것처럼 모국어가 아닌 경우는 변화해서 소리내기가 어렵습니다.

 

1) 3+3성 이 두 개 두 개 두 개 두 개 2 2 2 2 2 그래서 2성으로.

2) 3성이 다른 성조 앞에 오면 삼성을 반대해서 반3

원래 성조 + 원래성조 변한 성조 + 원래성조

3+ 13+ 1

3+ 23+ 2

3+ 32+ 3

3+ 43+ 4

3+ 경성 3+ 경성

 

 

 

好嗎? hǎomȧ? [하오 마]

冷嗎? lěngmȧ? [렁 마]

小嗎? xiǎomȧ? [시아오 마]

위 세 개는 앞의 3성을 가볍게 반3성으로 읽어주면 되구요.

hǎo 에서는 3성이 연달아 두 개 있으니 앞의 3성은 2성으로 변화해서 읽어주면 됩니다.

你好 nǐ hǎo ní hǎo

**변화되어 읽더라도, 표시는 원래 성조대로 합니다.

 

의 높임말인 당신 nín’ 은 다른 술어와 결합때 주로 의문문에서 쓰이는데 정중한 격식 차리는데 아니면 그냥 편하게 nǐ []를 써도 괜찮습니다.

 

당신 봅니까? ? nín kànmȧ? [닌 칸 마]

당신은 추우세요? ? nínlěngmȧ? [닌 렁 마]

당신은 더우세요? ? nínrèmȧ? [닌 러 마]

당신은 먹습니까? ? nínchīmȧ? [닌 츠 마]

당신은 마십니까? ? nínhēmȧ? [닌 허 마]

 

오늘 배운 표현 총정리 >

 

안녕.

안녕하세요.

당신 봅니까?

저는 봅니다.

당신은 추우세요?

저는 안추워요.

당신은 더우세요?

저는 매우 더워요.

당신은 먹습니까?

저는 안먹습니다.

당신은 마십니까?

저는 안마십니다.

 

-----

 

안녕. 你好Nǐ hǎo. [니 하오]

안녕하세요. 您好Nín hǎo. [닌 하오]

당신 봅니까? 您看嗎? Nín kàn mȧ? [닌 칸 마]

저는 봅니다. 我看Wǒ kàn. [워 칸]

당신은 추우세요? 您冷嗎? Nín lěng mȧ? [닌 렁 마]

저는 안추워요. 我不冷Wǒ bù lěng [워 뿌 렁]

당신은 더우세요? 您热嗎? Nín rè mȧ? [닌 러 마]

저는 매우 더워요. 我很熱Wǒ hěn rè. [워 헌 러]

당신은 먹습니까? 您吃嗎? Nín chī mȧ? [닌 츠 마]

저는 안먹습니다. 我不吃Wǒ bù chī. [워 뿌 츠]

당신은 마십니까? 您喝嗎? Nín hē mȧ? [닌 허 마]

저는 안마십니다. 我不喝Wǒ bù hē. [워 뿌 허






치파오

旗袍

qí páo 치 파오

 

한국은 한복, 일본은 기모노, 베트남은 아오자이, 중국은?

참 신기하게도 중국 한족에겐 바로 떠오르며 대표되는 전통옷이 없어요. 중국 전통의상을 치파오라고 말하기도 하는데 사실 치파오는 만주족이 말 타기 편하도록 입었던 그들의 전통의상입니다. 양쪽이 찢어진 긴 원피스로 허리에 띠를 두르고 속에는 바지를 입었었는데, 이후 점점 말타는 일이 줄어들며, 속에 입었던 바지는 없어지고 치마의 옆단만 길게 찢어진 채 여성의 몸매를 드러내는 원피스형 치파오로 남게 됩니다. 보일듯 말듯함에 가슴설레게 하죠.

일화로 1972년 미국과 중국의 정상회담중 미국 대통령의 닉슨(尼克松) 부인이 문화행사에서 한 기자가 중국 치파오를 본 소감이 어떠냐고 묻는 질문에 중국 인구가 왜 이렇게 많은줄 몰랐는데 치파오를 보니 알겠다라고 했다 합니다




6강_
나, 너


 

언어를 문법적 기능으로 분해해 문장중에서 어떤 역할을 하느냐를 구분하는 것을 문장성분이라고 했지요.

주인역할을 하면 주어, 풀이말 역할을 하면 술어 또는 서술어.

지금까지 술어로 쓰이는 형용사 대표 hǎo [하오] 춥다’ ‘덥다’ ‘크다’ ‘작다형용사.

그리고 동사 대표 kàn []에 이어 듣다’ ‘먹다’ ‘마시다라는 동사 단어 가지고 말을 만들어 봤습니다.

이번엔 풀이말 술어의 주인역할로 쓰이는 주어에 대해 알아보지요.

말을 할 때 주어자리에 오는 대표적인 것은 명사와 대명사입니다.

명사는 이름을 나타내는 것이고, 대명사는 명사 대신에 쓸 수 있는 말입니다.

그런데 중국어에서는 대명사라고 하지 않고, 대사라고 합니다. 대명사는 명사대신에 쓰는 말이고, 중국어는 명사 말고도 다른 품사대신에 쓰기도 하거든요. 그래서 대명사라고 한정시키지 않고 넓게 대사라고 말합니다.

 

다시 명사로 들어가서 명사는 이름을 가진 모든 것을 말합니다. 당장 눈에 보이는 책상, 의자, 핸드폰, 볼펜 모두 명사이지요. 이것들을...

!! ‘이것들이란 말을 했지요. 여기에 쓰이는 이것들이라는 말은 방금 말한 명사 책상, 의자, 핸드폰, 볼펜을 대신 가리키는 말이지요. 이것을 지시대사라고 합니다.

그리고 우리 반에서 함께 공부하는 영민이 지욱이 옥준이는 고유명사인데 반해 우리반에서 함께 공부하는 그들이라고 하면 위에서 말한 친구들 이름을 대신하는 말이라 대사 - 그것도 인칭대사에 해당합니다.

여기 인칭대사를 오늘 알아보고, 문장중에서 어떻게 쓰이는지 보려고 합니다.

 

인칭대사 - 사람 인() 호칭() 할 때 대신() 하는 말().

말 그대로 사람을 대신 칭하는 말입니다. 영어 공부할 때의 상식을 빌리자면 1인칭의 나, 2인칭의 너, 3인칭의 그.

오늘은 중국어 에 대해 알아보려구요.

 

그러고 보니 는 이미 알고 있기도 하고 우리도 자주 쓰는 말이예요.

중국어 인사말. [니하오]에서 가 너랍니다.

우리말로도 니가 이번에 했잖아.’ 라면서 라는 말을 쓰지요.

 

를 나타내는 한자어는 로 우리 한자에 잘 쓰지 않는 어려운 한자네요.

읽을 땐 3성으로 nǐ [].

그리고 는 한자 나 아()’를 쓰면 됩니다.

아군 적군 할 때 아군의 입니다.

wǒ

 

wǒ 읽기가 좀 난해해요.

wǒ wu 가 앞머리에 오는 걸 피하려고 씁니다. 우리말의 리랑처럼요. ‘아리랑이나 리랑은 소리가 같지만, 첫머리에 모음이 오는 걸 꺼리나봐요. 그래서 u가 앞머리에 오면 같은 소리의 w로 표기합니다. wu로 소리내면 됩니다.

wǒ u 음과 함께 o 를 더해 읽겠지요.

[우오어] - 한글자로 [] 3성으로요. (o는 그냥 가 아닌 오와 어의 중간음입니다. 평상시엔 그냥 로 소리내도 되지만, 지금 여기선 반드시 +로 해주세요.)

 

nǐ [] ni는 그냥 로 읽으면 되는데, 잔소리 하나만 더 하자면 성조표시요. i 는 글자 위의 점 떼고 그 자리에 성조표시를 한다구요. chī 할 때 했었지요. 이젠 아무리 왕초보래도 이 얘긴 그만 하렵니다.

 

성조 표시법

1. 성조 표시는 1, 2, 3, 4, 경성에 따라서 각각의 표시가 있다.

1mā  2má 3mǎ 4mà 경성 m

2. 성조 표시는 모음위에 붙이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3. 모음이 두 개 있을 경우 더 크게 소리나는 모음위에 붙인다.

4. ‘ i ’ 는 위의 점을 빼고 성조를 표시한다.

5. ‘ i u’ 가 함께 오면 뒷음에 붙이게 됩니다.

 

 

 

지금까지 배운 동사 형용사 좋다’ ‘덥다’ ‘춥다’ ‘크다’ ‘작다’ ‘본다’ ‘듣다’ ‘먹다’ ‘마시다생각나시죠.

의문형 좋냐?’ ‘보냐?’ 도 생각나구요.

부정형 안좋다’ ‘안본다도 물론...

생각안나면 앞으로 가서 확인요.

 

여기에 오늘은 주어를 붙여 보겠습니다.

 

나는 본다.

너는 본다

너는 먹니?

나는 안먹는다.

나는 안춥다.

넌 덥니?

 

위의 말을 하려면 단어가 바로 바로 입으로 튀어 나와야 합니다.

좋다 [하오], 본다 [], 덥다 [], 춥다 [], 크다 [], 작다 [시아오], 듣다 [] 먹다 [], 마시다 [].

말하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성조입니다.

성조 신경 쓰면서 읽어 볼까요?

好 看 热 冷 大 小 聽 吃 喝

hǎo kàn rè lěng dà xiǎo tīng chī hē

 

 

 

나좋다.’ ‘너는 본다라는 말을 하려면 주어+술어의 순서로 단어를 나열하면 됩니다. 우리말에서 나는 좋다. 내가 좋다. 나가 좋다처럼 , , , 의 격조사는 신경쓸거 없이 그냥 단어 자체로 주어 + 술어로.

나 좋다. 我好 wǒ hǎo [워 하오]

너는 본다. 你看 nǐ kàn [니 칸]

 

너 좋니? 너는 보니?’ 처럼 의문은 맨뒤에 마법 글자인 [].

너는 좋니? 你好? nǐ hǎo ma [니 하오 마]

너는 보니? 你看? nǐ kàn ma [니 칸 마]

 

난 안좋아. 난 안본다처럼 부정은 술어앞에 부정을 나타내는 을 추가하구요.

난 안좋아. wǒ bù hǎo [워 뿌 하오]

난 안본다. 我不看 wǒ bú kàn [워 부 칸]

 

 

오늘 배운 표현 총정리 >

 

나는 좋다.

너는 좋니?

나는 본다.

너는 보니?

나는 안본다.

너는 안먹니?

나는 마신다.

너는 춥니?

나는 덥다.

나는 매우 덥다.

나는 안덥다.

 

--------

 

나는 좋다. 我好Wǒ hǎo. [워 하오]

너는 좋니? 你好嗎? Nǐ hǎo ma? [니 하오 마]

나는 본다. 我看Wǒ kàn. [워 칸]

너는 보니? 你看嗎? Nǐ kàn ma? [니 칸 마]

나는 안본다. 我不看Wǒ bú kàn. [워 부 칸]

너는 안먹니? 你不吃嗎? Nǐ bù chī ma? [니 뿌 츠 마]

나는 마신다. 我喝Wǒ hē. [워 허]

너는 춥니? 你冷嗎? Nǐ lěng ma? [니 렁 마]

나는 덥다. 我熱Wǒ rè. [워 러]

나는 매우 덥다. 我很熱Wǒ hěn re.̀ [워 헌 러]

나는 안덥다. 我不熱Wǒ bú rè. [워 부 러]

 



기관지염 = 공처가

气 管 炎

qì guǎn yán 치 구안 앤

 

气管炎 - 기관지에 생긴 염증의 의미입니다. 气管(치구안:기관지)과 발음이 같은 妻管(치구안:아내가 관리한다)을 사용하여 공처가를 비꼬는 말로 사용합니다. 보편적인 강한 남성의 이미지가 사라진 아내에게 벌벌기는 모습을 풍자하는 용어입니다. 미소지으며 저 친구 기관지염에 걸렸어라고 표현하면 공처가를 말함으로 보면 됩니다.


공처가와 애처가의 구분. 공처가는 자기 속옷 자기가 빠는 사람. 애처가는 자기 속옷 빠는 김에 아내 속옷까지 빨아주는 사람




5강_
먹다. 마시다.


술어로 쓰이는 대표동사 看 kàn [칸], 聽 tīng [팅] 에 대해 알아봤지요.
그래서
본다. 듣다.
보니? 듣니?
안본다. 안듣는다.
안보니? 안듣니 등등의 말을 만들어 봤구요.
이번에 추가로 다른 동사 알아봅시다. 
뭐가 좋을까?
먹고 마시고 노는게 좋지요?
그래서
먹다. 마시다. 를 알아보려구요.


먹다. 吃 chī 
마시다. 喝 hē 
두 글자 모두 앞에 입구(口)가 붙어 있네요. 입의 동작과 관계있는 글자라 그런 듯합니다.


의미도 중요하지만, 왕초보 단계에서는 읽기를 잘해야 합니다. 
chī 이거 어떻게 읽어요?
아. 먼저 성조 표시할 때 i 는 글자 위의 점 떼고 그 자리에 성조표시를 합니다. 
그래서 chī 발음은 ch +i 로 되어 있는 겁니다. 
‘ i ’ 발음 생각나시죠. 제가 <으이 7공주> 언급했었는데
i 가 ‘이’로 나기도 하고 ‘으’로 나기도 하는데 7가지 경우는 ‘으’로 읽어라. 


chi 는 ‘으’로 읽는 대표적인 경우입니다.


吃 chī [츠] 우리말로 [츠]라고 써놓긴 했는데 그 [츠]가 그냥 니맘대로 하는 ‘츠’는 아니지요.
‘덥다’의 re 에서 혀를 들어 올렸던 그 위치입니다. - 맞아요. 권설음요!!!


마시다. 喝 hē 이건 어떻게 읽어요.
h는 그냥 ㅎ소리이고, 뒤의 e.
e는 ‘어’로 나기도 하고 ‘에’로 나기도 한다. 
e가 혼자 있을땐 ‘으어’
그래서 ‘[흐으어] 마시다’ 입니다. 1성으로요.


먹다. 吃 chī [츠]
마시다. 喝 hē [허]


의문문은?

먹니?
마시니?
吃 吗? chī mȧ [츠 마]
喝 吗? hē mȧ [허 마]


부정문은?
안먹어.
안마셔.
不 吃 bù chī [뿌 츠]
不 喝 bù hē [뿌 허]


부정의문문은?
안먹니?
안마시니?
不吃吗 ? bù chī mȧ [뿌 츠 마]
不喝吗 ? bù hē mȧ [뿌 허 마]



오늘 배운 표현 총정리 >

1. 먹다.
2. 먹니?
3. 안먹어.
4. 안먹니?
5. 마시다.
6. 마시니?
7. 안마셔.
8. 안마시니?

-----

1. 먹다. 吃。 Chī. [츠]
2. 먹니? 吃吗? Chī mȧ [츠 마]
3. 안먹어. 不吃。 Bù chī. [뿌 츠]
4. 안먹니? 不吃吗? Bù chī mȧ? [뿌 츠 마]
5. 마시다. 喝。 Hē. [허]
6. 마시니? 喝吗? Hē mȧ? [허 마]
7. 안마셔. 不喝。 Bù hē. [뿌 허]
8. 안마시니? 不喝吗? Bù hē ma?̇ [뿌 허 마]






[중국어 한마디_10]

작은 신발을 신게 하다
穿 小 鞋 
chuān xiǎoxié 추안 샤오 시에


작은 신발(小鞋)을 신다(穿)는 표현입니다. 전족이라고 들어보셨죠.
纏足(chánzú 전족)은 중국에서 10세기 경 5대 10국시기의 한 황제가 작은 발의 미인이 춤추는 모습을 보고 그 아름다움에 빠져 궁녀들의 발을 모두 작게 만든 것에서 시작하여 천여년가 유지되어온 악습입니다. 
穿小鞋는 작은 신발을 신켜서 괴롭힘을 주는 것, 자신의 권세를 이용하여 보복행위를 가하는 것 등을 가리킬 때 쓰는 표현입니다. 
작은 신발 신으면 정말 괴로워요. 
신발은 저녁무렵에 사는게 가장 좋다고 합니다. 저녁쯤 되면 발이 부어 가장 큰 사이즈가 된다고 하네요. 그때 맞는 신발이 자기신발이라고. 아침 일찍 신발 사러가게 되면 穿小鞋 할 수 있으니 조심하세요.





4강_
보다. 듣다.


문장중에서 풀이말은 동사와 형용사가 주로 쓰이는데, 형용사 ‘좋다’ ‘덥다’ ‘춥다’ ‘크다’ ‘작다’ 가지고 말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일단 好 hǎo [하오]를 기준 대표 형용사라 생각하고, 그 자리에 다른 형용사를 집어넣으면 그냥 말이 됩니다.

이번엔 풀이말로 쓰이는 동사를 가지고 말을 만들어 볼께요.


본다. 
한자 ‘볼 간(看)’이 있습니다. 看은 손 수(手)에 눈 목(目) 이 합쳐 만들어진 글자입니다. 햇볕이 내리쬐는 곳에서 멀리 보려고 손을 눈위로 올리는 모습.


看 kàn [칸].
제4성이네요. 독기를 품고 [칸]
‘본다.’라는 표현은 그냥 看 kàn [칸]
‘봐요. 봅니다. 볼거예요. 봤어요. 본다닌까요. 보기’도 모두 看 kàn [칸]


듣다.
한자 ‘들을 청(聽)’을 쓰면 됩니다. 
한자 무지하게 어려워요. 그래서 현대 중국사람들은 간략하게 만들어 썼다구요.
간체자라고 하지요. 聽
세상에나... 
聽 번체자 → 간체자 聽 tīng [팅] 1성으로 편안하게.
‘듣다. 듣는다. 들어요. 들었어요. 들은다닌까요. 듣기’ 도 모두 聽 tīng [팅]


보냐? 듣냐?
의문이예요. 의문을 만들 땐 마법같은 글자 뭐? 
마법같은 한글자 嗎 mȧ [마]
그래서 듣냐? 看嗎? kànmȧ? [칸 마] 
보냐? 聽嗎? tīngmȧ? [팅 마]


안본다. 안듣다.
부정문장. 부정을 만들땐 앞에 부정의 의미를 갖는 不를 갖다 붙이면 완성.
不看 bù kàn [뿌 칸]
不聽 bù tīng [뿌 팅]


여기서 질문 하나 해주시면 고맙겠는데... 이상한거 하나 발견 못했어요?
不는 원래 4성인데 뒤에 4성이 연달아 오면 부정의 의미가 너무 강해서, 4성을 어떻게 바꾼다고 말했었는데...
강한 4성이 오면 앞엔 4성 [뿌]로 소리내지 않게 좀 부드럽게 2성 [부]로 소리낸답니다.
그래서 不看 bù kàn [뿌 칸] → bú kàn [부 칸] 안본다.


'안보냐'는?
'보다(看)'에 '부정(不)'을 결합하고 다시 마법의 '의문 조사(嗎)‘를 덧붙이면 되겠지요.
不看嗎? bú kàn mȧ? [부 칸 마] 안보냐?
不聽嗎? bù tīng mȧ? [뿌 팅 마] 안듣냐?

오늘 배운 표현 총정리 >

1. 본다. 
2. 보니?
3. 안본다. 
4. 안보니?
5. 듣는다.
6. 듣니?
7. 안듣는다.
8. 안듣니?

-----

1. 본다. 看。 Kàn. [칸]
2. 보니? 看嗎? Kàn mȧ? [칸 마] 
3. 안본다. 不看。 Bú kàn. [부 칸] 
4. 안보니? 不看嗎? Bú kàn mȧ? [부 칸 마]
5. 듣는다. 聽。 Tīng. [팅] 
6. 듣니? 聽嗎? Tīng mȧ? [팅 마] 
7. 안듣는다. 不聽。 Bù tīng [뿌 팅] 
8. 안듣니? 不聽嗎? Bù tīng mȧ? [뿌 팅 마]






[중국어 한마디_9]

독수리타법
二指禪
èr zhǐ chán 얼 즈 찬

TV 보다 보면 유난히 경찰들이 손가락 두 개로 타자치는 모습을 자주 보여줍니다. 독수리타법이라고 그러지요. 그래서 경찰서 머리에 그리고 경찰 모자에 독수리가? 
중국어로는 독수리 타법을 그대로 “秃鹫(tūjiù 독수리)打字法”으로 바꾸면 안되고, “二指禪” 이라고 합니다. 
“二指禪”은 “두 손가락 禪” 이라는 표현인데 원래는 소림무술에서 엄지와 검지 두 개만으로 물구나무를 스는 등의 기예를 선보일 때 구사하는 무예 용어의 일종입니다. 모든 손가락 사용해서 치는 입장에서 무술 수준으로 두 손가락으로 치고 있는 모습 보면 오히려 존경심이 생깁니다. 






3강_
매우 크다. 매우 작다.


문장중에서 풀이말은 동사와 형용사가 주로 쓰이는데, 형용사 ‘좋다’ ‘덥다’ ‘춥다’ 가지고 말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일단 好 hǎo [하오]를 기준 대표 형용사라 생각하고, 그 자리에 冷과 熱을 집어 넣어 말을 만든 것처럼 다른 형용사를 집어넣으면 그냥 말이 됩니다.
오늘은 형용사 크다 大, 작다 小에 대해 알아보고, 더불어 작고 큰 것도 그냥 작고 큰 게 아니고, 매우, 겁나, 허버, 졸라(?) 큰 그런 표현을 해보려고 합니다.

大 와 小.
한자는 잘 알지요...
중국어 초보자에엔 읽기가 가장 중요합니다.
大 dà [따] 크다. 나이가 많다. 
小 xiǎo [시아오] 작다. 나이가 어리다.

한어병음 da 읽기 인데요.
da 뿐만 아니라 병음 ba, zai, ge 등에서 
따 / 다, 빠/바, 짜이/자이 꺼/거
바로 한글 쌍자음에 해당되는 발음입니다. 
중국에서는 ‘다’와 ‘따’, ‘바’와 ‘빠’, ‘짜이’과 ‘자이’ 등의 구분이 없습니다. 
성조에 따라서 1성과 4성에서는 발음이 더 강하고, 2성과 3성 그리고 경성에서는 더 부드러워집니다. 
그래서 같은 d [ㄷ] 소리라도 
1성에서는 dā [따] 
2성에서는 dá [다]
3성에서는 hǎ [다] 
4성에서는 dà [따] 로 소리납니다.

xiǎo [시아오] 는 3성으로 내려갔다 올라가는 발음으로 자알 소리내시구요.
[시아오]가 세글자라고 해서 세글자 또박또박 소리내면 안됩니다. 
중국한자는 小 한글자이니 단음절입니다. [시아오]를 한꺼번에 잘 섞어서 소리내 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단어하나 더 익힐텐데요.
바로 很 hěn [헌]입니다. 
hěn [헨]으로 읽고 싶었죠. [헌]입니다. 
e 는[어]로도 읽고 [에]로도 읽습니다. 여기서는? [어]로 읽어요. 
어는 어인데 앞에 약한 으가 들어간 [으어].

먼저 ‘크다’ 그리고 ‘작다’는 그냥 단어를 그대로 말하면 됩니다. 
크다 大 dà [따]
의기양양하게 아주 큰소리로 자신있게 [따]

작다 小 xiǎo [시아오] 
3성으로 작게 웅크리는 모습으로 [시아오]

크냐? 작냐?
뒤에 무슨 글자를 붙이면 된다요?
마법의 글자 嗎 mȧ [마]
크냐? 大嗎 ? dà mȧ? [따 마] 
작냐? 小嗎 ? xiǎo mȧ? [시아오 마] 
‘작냐?’에서는 앞이 3성이고 뒤가 경성이네요. 그럼 앞3성은 가볍게~~~

안크다. 안작다 - 크지 않다. 작지않다는 부정은
부정을 나타내는 부정부사 不를 앞에 갖다 붙이면 완성.

크지않다. 不大 bùdà [뿌 따]
작지 않다. 不小 bùxiǎo [뿌 시아오]

*** 그런데.
앞 장에서 언급했던 不熱 bù rè [뿌 러] → bú rè [부 러] 안춥다. 
요것 생각나나요?
부정을 만들어주는 부정부사 不 bù [뿌] 는 원래 4성인데, 4성의 단어를 부정할땐 그 앞에서 2성인 bú [부] 로 읽기 변화한다구요.

그래서 읽기 주의해서
크지 않다. 不大 bú dà [부 따]
작지 않다. 不小 bùxiǎo [뿌 시아오] 
크지 않니?
작지 않니?
라는 부정의문문은 역시 부정문 뒤에 의문마법 글자 嗎 mȧ 를 붙이면 됩니다.

크지 않니? 不大嗎? bú dà mȧ [부 따 마]
작지 않니? 不小嗎 ? bù xiǎo mȧ [뿌 시아오 마]

여기서 ‘아뇨 커요’ 그러면 그대로 긍정으로 대답하면 되고, ‘크지 않아요’ 라면 부정으로 대답하면 됩니다.
그런데
‘커요. 엄청커요’ 라고 대답하면...
정도를 나타내는 ‘매우’라는 말을 형용사 앞에 갖다 붙이면 됩니다. 
부정을 나타내는 말을 부정부사라 하거든요.
정도를 나타내는 말도 역시 정도부사라고 합니다. 같은 ‘부사’네요.

매우 크다 很大 hěn dà [헌 따]
매우 작다 很小 hěn xiǎo [헌 시아오]

오늘 배운 표현 총정리 >

1. 크다. 
2. 작다. 
3. 크니?
4. 작니?
5. 크지 않아. 
6. 작지 않아.
7. 크지 않니?
8. 작지 않니?
9. 매우 커.
10. 매우 작아.

-----

1. 크다. 大。 Dà. [따]
2. 작다. 小。 Xiǎo. [시아오] 
3. 크니? 大嗎? Dà mȧ? [따 마] 
4. 작니? 小嗎? Xiǎo mȧ? [시아오 마] 
5. 크지 않아. 不大。 Bú dà. [부 따]
6. 작지 않아. 不小。 Bù xiǎo. [뿌 시아오] 
7. 크지 않니? 不大嗎? Bú dà mȧ? [부 따 마]
8. 작지 않니? 不小嗎 ? Bù xiǎo mȧ? [뿌 시아오 마] 
9. 매우 커. 很大。 Hěn dà. [헌 따]
10. 매우 작아. 很小。 Hěn xiǎo. [헌 시아오]





[중국어 한마디_8]

오늘 내가 쏠께요.
今天我做东吧
jīn tiān wǒ zuò dōng ba 찐티앤 워 쭈오 똥바

글자 그대로 풀어보면 ‘오늘(今天) 제가(我) 동쪽을 할게요(做东吧)’ 라는 말입니다. 중국어에서는 동쪽의 역할이 주인됨의 의미로 쓰입니다. 전통적인 남향집을 봤을 때 동쪽과 서쪽에 사랑채가 있는데, 그 중 동쪽에는 주인이 머물고 서쪽엔 손님이 머물게 됩니다. 그래서 내가 동쪽 역할을 하겠다는 말이 주인 역할 - 돈을 내겠다는 의미로 옮아 왔습니다. 우리나라 옛서원에서도 동재 서재가 있는데 동쪽에 선배들이 머물렀다고 합니다. 어디나 보면 동쪽이나 왼쪽이 그 반대쪽 보다는 우선입니다. 좌우정 우의정 에서도 좌우정이 한단계 윗급입니다. 동쪽과 왼쪽을 우선시한게 왼쪽(동쪽)에 심장이 있어서 그럴까요?





2강_

춥다. 덥다.

언어를 문법적 기능으로 분해하면서 공부하다보면 문장성분이라는 말을 듣습니다. 문장중에서 어떤 역할을 하느냐는 것이죠.
주인역할을 하면 주어, 풀이말 역할을 하면 술어 또는 서술어.
지난 시간 ‘좋다’ 라는 표현을 했었는데 ‘좋다’라는 말은 풀이말인 술어에 해당합니다. 
중국어에서는 술어로 쓰이는 말은 상황을 묘사하는 형용사나 움직임을 나타내는 동사가 해당됩니다. 好 hǎo [하오] 가 술어로 쓰이는 대표형용사이고 여기 자리에 다른 형용사를 집어넣으면 말이 되겠지요.
그래서 오늘은 다른 형용사 춥다 冷과 덥다 熱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冷 lěng [렁] 춥다.
熱 rè [러] 덥다.

읽기가 문제겠지요. 먼저 e 어떻게 읽어요?
[어]로도 읽고 [에]로도 읽습니다. 여기서는? [어]로 읽어요. 
어는 어인데 앞에 약한 으가 들어간 [으어].
그리고 한어병음의 자음인 l 과 r 은 모두 우리의 ‘ㄹ' 인데 같은 ㄹ은 아니지요.
冷 lěng [렁] 여기서의 ㄹ은 빨래 할 때 ㄹ이 두 개라고 생각하는 [렁]. 춥다.
熱 rè [러] 여기서의 ㄹ은 혀끝을 입천장으로 들어올려 천정에 닿을 듯 말 듯 내는 소리 - 권설음 얘기 했었지요. 
‘슬슬 나가볼까’ 라고 말할 때 ‘슬슬’을 말하는 혀의 위치.
아니면 ‘아이셔’에서 ‘셔’ 발음할 때 혀 위치요.

잘읽을 수 만 있으면 이제 말만들기는 문제가 안될겁니다.

좋다. 
좋니?
안좋아. 만들던 거 생각하면 됩니다. 
좋다. 好。 hǎo. [하오]
좋니? 好吗? hǎomȧ? [하오마]
안좋아. 不好。 bù hǎo. [뿌하오]

먼저 ‘춥다’ 그리고 ‘덥다’는 그냥 단어를 그대로 말하면 됩니다. 
춥다 冷 lěng [렁] 
몸을 덜덜 떨 듯 3성으로...
썰렁한 농담 들었을 때 한기를 느끼는 썰 ^렁!!!!^^
덥다는 熱 rè [러]
아! 4성이네요. 어디가서 디져버려라 하는 4성.
더워서 짜증나 죽겠어요. 4성으로 강하게. 러!

춥냐? 덥냐는요?
뒤에 무슨 글자를 붙이면 된다고 했지요?
마법같은 ... ( ).
그렇습니다. 마법의 嗎 mȧ [마]
춥냐?
그런데 앞이 3성이고 뒤가 경성이네요. 그럼 앞3성은 가볍게~~~
冷嗎 ? lěngmȧ? [렁 마]

덥냐? 는
역시 끝에 마법의 의문 글자 더하고, 4성의 ‘덥다’ 라는 짜증 가득 섞어서
熱嗎 ? rèmȧ? [러마]

그리고 이젠 부정으로 넘어가면.
부정문 만드는 법. 알고 계시지요.
부정을 나타내는 부정부사. 不을 갖다 붙이면 완성.
안춥다.
不冷 bù lěng. [뿌 렁]

안덥다는
역시 덥다라는 熱 앞에 부정부사 不을 넣으면 완성.

不熱 bù rè [뿌 렁] → bú rè [부 러] 안춥다.

여기서 잠깐>
부정부사 不 bù [뿌] 가 원래 4성인데, 화살표 찍고 不 bú [부] 로 읽기 변화했네요. 중국어에선 간혹 아주 간혹 아주아주 간혹 성조가 변하는 글자가 있어요.

不는부정의 의미로 연속해서 강하게 발음하면 그 부정이 너무 심해 듣는 이가 진짜 어디가서 자살이라도 해버릴까봐 뒤에 강한 4성이 오면 앞엔 4성 [뿌]로 소리내지 않게 좀 부드럽게 2성 [부]로 소리낸답니다.

‘안덥다’처럼 부정문에서 熱이 제4성 단어라 不熱 bù rè하면 4성+4성이라 너무 억세게 들려요. 그래서 부정을 부드럽게 만들어 
bú rè [부 러] 2성으로 [부우]로 올리면서 소리냈어요.

우리말로 한자 읽을 때에도 
‘不自然 不道德 不可抗力 不感症’ 에서 不이 다른 소리가 나거든요.
못읽는다구요?
不自然 不道德 不可抗力 不感症
부자연 부도덕 불가항력 불감증.
어떤 때는 ‘부’로 어떤 때는 ‘불’로.

중국어에서 부정을 나태내는 不 bù [뿌] 는 성조가 두 개입니다. 
원래는 4성. 
不好 bù hǎo [뿌하오]
不冷 bù lěng. [뿌 렁]

4성앞에서는 2성. 不熱 bú rè [부 러] 안춥다.


오늘 배운 표현 총정리 >

1. 춥다.
2. 춥니?
3. 안춥다. 
4. 덥다.
5. 덥니?
6. 안덥다.

-----

1. 춥다. 冷。 Lěng. [렁] 
2. 춥니? 冷嗎? Lěng mȧ? [렁 마]
3. 안춥다. 不冷。 Bù lěng. [뿌 렁] 
4. 덥다. 熱。 Re.̀ [러] 
5. 덥니? 熱嗎? Rè mȧ? [러마]
6. 안덥다. 不熱。 Bú rè. [부 러]





[중국어 한마디_7]


말의 엉덩이 치기
拍马屁
pāi mǎ pì 
파이마피

말(马)의 엉덩이(屁股)를 두르리다(拍). 중국 관용어로 '아부하다' 라는 의미로 쓰입니다. 아부는 윗사람에게 하는 것인데, 윗사람이 타고 가는 말의 엉덩이를 두드려 주면서까지 잘 보이려고 하는 형상이 그려지는지요. 
'말(馬)'이 나오면 저는 '말 위(马上 mǎshȧng )와 말 통(马桶 mǎtǒng)' 이란 단어가 떠올라요. 马上은 '바로, 즉시' 라는 의미로 교통수단으로 말이 최고인 시절 무언가를 급히 알려주려면 말이 제일 빠른 수단이었을 것입니다. 그때 말 위 라는 말이 즉시라는 말로 쓰인 듯 합니다.

马桶은 글자 그대로 보면 말 통 이라는 말인데 변기라는 뜻입니다. 말을 타듯 변기에 앉아 용변을 본데서 나온 자세일치 용어가 아닐런지...




1강_

좋다. 좋아? 안좋아.

중국어 이제 시작합시다. 
<왕초보 중국어>라는 타이틀 보고 들어왔는데
중국어공부 경험 전혀 없는 순수 왕초보에겐 버거운 중국어 발음원리 읽어오느라 많이 지치셨을 겁니다. 
영어야 십수년을 배웠으니 아무 부분에서부터 시작해도 별 거부감이 없지만, 처음인 중국어를 소리 원리도 모르고 시작하는 것은 말이 안되는 일(좀더 유식하게 語不成說)이라 수 날을 발음으로 보냈습니다.


지금부터.
진짜 <왕초보 중국어> 시작합니다.

‘좋아’ 
중국어로 어떻게 말해요?
아무것도 모르는 왕초보한테 질문해서 많이 당황하셨을까요?
중국어로 인사말인 ‘니하오’에서 ‘하오’가 바로 ‘좋다’라는 의미입니다. 
인사말이요. 한국 사람은 밤새 안녕여부를 묻고, 서구 사람들은 자연에 감탄하는 ‘굿모닝’으로 중국사람은 ‘너 좋다’라는 ‘니하오’로 하루를 시작합니다. 
중국 인사말. 참 좋은 말이예요.

한어병음으로 쓰면 hao.
한자로 쓰면 여자+남자 = 女+子 = 好
(소시적에 好를 남자여자 함께 있으니 ‘좋다’라는 의미가 생겼다고 배웠는데 한자 초기의 자형을 보면 엄마가 자식을 안고 있는 모습이라고 합니다. 그보다 좋은 모습이 어디 있겠습니까? 그리고 남자 여자 함께 있는게 꼭 좋은 일만은...)

‘좋아’는 뭐라고요? --- 하오.
그럼 ‘좋다’는 뭘까요?
‘좋습니다’는? ‘좋아요’는? ‘좋지요’는?
모두 다 [하오]입니다.
세상에나... 중국어 쉬워 미쳐버리겠지요. 
그런데 뭘 신경쓰라구요. 성조!!!

‘좋다’는 중국어로 好.
한어병음으로 표기하면 hǎo .
a 자 위에 내려갔다 올라가는 표시가 제3성.
그래서 그 표시대로 내렸다가 올라가는 소리. [하오].
(‘하오’라고 해서 우리는 두 글자 소리이지만 중국어는 한소절음입니다.)

그럼 이제 ‘좋냐?’고 물어봅시다. 
중국어에서 물어보는 말은 단어가 되었든 문장이 되었든 끝에 한글자만 추가하면 의문으로 변신합니다. 
그 한 글자는 바로 마법같은 < 마 (ma) >
중국 글자는 嗎 - 요렇게 생겼어요. 입 구(口)에 뒷부분에 요상한 글자가 하나 들어가 있죠. 뒤편의 馬는 말 마(馬)의 간체자입니다. 
간체자는 간략한 체형의 글자라는 의미로 한자가 너무 복잡해 간단한 모양으로 바뀐 현재 중국에서 공식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한자입니다.

‘좋냐?’ 는 好嗎 ? haoma? 성조 넣으면 hǎomȧ?

잠깐> 우리가 성조 1성, 2성, 3성, 4성. 배웠지요. 
1성은? 
2성은?
3성은?
4성은?
다 잊었을거예요...
어쨌든 네 개의 성조는 각기 자기 표시가 있었어요.
그런데 ‘좋냐?’ 라고 물었던 hǎomȧ 에 요상한 표시가 하나 들어가 있습니다. 
ma 위의 조금만 동그라미.
요것은 경성이라고 합니다. ‘가벼울 경(輕)’을 씁니다. 가벼운 소리라는 말이죠.
경성은 원래 성조가 있는 한자가 접미사로 쓰이거나, 말의 문법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조사 등으로 쓰일 때 자기의 성조를 잃어버리는 경우에 쓰입니다. 높이는 앞에 어떤 성조가 오냐에 따라 약간 다른데 그냥 조용히 읽어주시면 됩니다. 
mȧ처럼 위에 조그만 동그라미 표시하기도 하고, ma처럼 그냥 아무 표시를 안하기도 합니다.

‘좋아요?’
‘좋습니까?’
‘좋습니까요?’
‘좋습니까요이잉?’ 도 모두 好嗎 ? hǎomȧ? [하오마]

hǎomȧ? [하오 마]를 발음할 때 앞에 오는 3성이 읽을 때 문제가 됩니다.
앞의 ‘하오’와 뒤의 ‘마’가 부드럽게 연결되어야 하거든요. 앞의 3성인 ‘하오’를 내려갔다 올라가는 소리를 다 내면 뒤음으로 연결하기 불편합니다. 
그래서 이땐 앞의 ‘하오’는 내려가는 소리만 내면 됩니다. 3성 발음에서 내려갔다가 올라가지 말고 내려가서 올라갈 때 ‘+ 마’ 하는 겁니다. - 그런 발음을 3성을 절반만 발음한다고 하여 반3성이라고 합니다.

‘안좋다’는 뭘까?
好 앞에 부정의 의미인 ‘안’을 나타내는 한자 ‘아니 부/불(不)’을 붙이면 됩니다.
역시 중국어로 읽어야겠지요.
不 bù [뿌] 성조는 제4성으로.
4성은 죽을 사(死)자가 들어가니 독하게 어디가서 디져버려라 하듯 힘차게. [뿌]
그래서 ‘안좋다’는 不好 bù hǎo [뿌 하오]

그럼 ‘안좋냐?’는 어떻게 말할까요?
오늘 우리가 배운 말중 제일 어려운 말입니다. 
먼저 ‘좋다’를 생각하고, 그리고 의문문을 만드는 마법 같은 단어(嗎)에, 부정을 나타내는 부(不)를 갖다 붙이면. 완성.
不 好 嗎 ? bù hǎo mȧ? [ 뿌 하오 마 ]
우와~~ 우리말과 어순이 똑같네요. 안좋냐? 뿌 하오 마?

오늘 배운 표현 총정리 >

1. 좋다. 
2. 좋아요.
3. 좋습니다.
4. 좋냐?
5. 좋아요?
6. 좋습니까?
7. 안좋다. 
8. 안좋아요?
9. 좋아요.

※ 오늘 배운 표현 총정리는 답을 보기전에 일단은 스스로 해보시고, 뭐가 틀리는지 확인하셔야 됩니다. 
그리고 한국어가 바로 중국어로 튀어나올 수 있도록 여러번 되뇌어 보시기 바랍니다.

-----

1. 좋다. 好。 Hǎo. [하오]
2. 좋아요. 好。 Hǎo. [하오]
3. 좋습니다. 好。 Hǎo. [하오]
4. 좋냐? 好吗? Hǎo mȧ? [하오 마]
5. 좋아요? 好吗? Hǎo mȧ? [하오 마]
6. 좋습니까? 好吗? Hǎo mȧ? [하오 마]
7. 안좋다. 不好。 Bù hǎo. [뿌 하오]
8. 안좋아요? 不好吗? Bù hǎo mȧ? [뿌 하오 마]
9. 좋아요. 好。 Hǎo. [하오]

※ 한국어 - 한자(중국글자) - 발음기호 - 우리말발음표기
‘뭘 공부해야해요?’ 라는 궁금증 들지요? 일단 다 하세요.
다하기 힘들다구요... 
먼저는 소리입니다. 우리말로 무엇은 중국어로 뭐다 라는 소리 먼저 익히고,
한자만 보고 중국어로 읽어보시고, 한국어를 보고 중국어로 써보시기 바랍니다.
한국어를 보고 중국어로 쓸 때 한자도 쓰고 병음도 함께 써보세요.




[중국어 한마디_6]

시간
小時 
xiǎoshí 샤오스


“時(時)” 글자 아시죠? 시간 할 때 시 자이죠. 중국에서는 몇시간 단위를 나타낼 때, 時 한 글자만을 쓰지 않고 앞에 작을 소(小)를 붙여 小時 라고 합니다. 
그럼 大時 도 있을까? 
의문을 갖고 풀어보는 것. 학문을 하는 자세 훌륭합니다. 
小時(소시)와 大時(대시) 모두 옛날엔 썼던 개념입니다. 우리 사주볼 때 자시 축시 인시 하면서 열두단위로 시간을 말하는 걸 들어봤을 겁니다. 서양에서 시계가 들어오기 전에 중국에서는 물시계를 사용했는데 하루를 열두단위로 나누었습니다. 그래서 지금의 스물네시간 단위로 보자면 지금의 2시간이 옛날의 1시간인 셈이죠. 처음엔 그냥 時 였던 것이 서양시계가 들어와서 大時와 小時를 구분하다가 점차 大時는 없어지고 小時만 남게 되어 小時가 시간을 나타내는 말이 되었습니다.
참고로 ‘술시’라는 말 장난으로 말이들 하죠. 술시는 저녁 7시부터입니다. 반주삼아 술마시기 딱 좋은 시간이죠.







한어병음자모 - 모음


이제는 모음 읽기입니다. 모음을 중국어에서는 운모라고 합니다.

a ai ao an ang 
e ei en eng 
i ia ie iao iou ian ...
o ou ong
u ua uo uai uei uan ... 
ü üe üan ün 
er

좀 복잡하지요.
한글자로 된 음을 단모음, 두글자 이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복모음.
자음이 들어가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를 결합모음이라고 합니다. 
그 명칭이 중요한 건 아니고, 소리를 낼 수 있으면 됩니다. 
특히 대표로 쓰이는 단모음 a e i o u ü [ 아 에 이 오 우 위 ]

기본 모음 a e i o u ü 를 보면서 모음 주의사항 보도록 할께요.
(중국어 처음이시면 이 부분이 제일 어렵습니다. 글설명은 한계가 있고 소리나 영상강의로 설명해 드렸으면 좋겠는데...)

첫번째 모음 a [아]
a가 자음과 결합할 때 ta는 [타], hao는 [하오] 라고 읽습니다. 
他 tā 왼쪽 한자는 ‘타인’ 할 때의 타입니다. 
중국어 소리도 ta[타].
성조 넣으면 tā [타아-]
好 hǎo 는 [하오]. 그냥 [하오]가 아니라 어떻게요?
성조! 성조!! 성조!!!
ˇ 표시 가물가물 하죠.. 제 3 성으로 내렸다가 올라가는 소리. [하하하오오오]
그런데 주의사항이
ta와 hao에서 읽었던 모음 a의 [아] 소리가
ian 에서는 [아]가 아닌 [애]로 소리가 난다는 슬픔. ㅠ ㅠ ~~
tian 은 [티앤], mian은 [미앤]...

두번째 모음 e 입니다. 
e 는 [에]로 읽고 싶잖아요. 그런데 중국사람들은 [어]로도 읽고, [에]로도 읽는답니다. 
이렇게 기억하게요. e 가 혼자 있을 때는 단모음이니 작대기 하나인 [어]
e 가 다른 모음과 함께 오면 복모음이니 작대기 두 개인 [에]
아니. 작대기가 어디에 있다는 말이야?
아주 제가 애가 탑니다. 글로 표현하려니...
‘어’와 ‘에’에서 작대기 안보여요?...

중국 조폭영화 보면 “따거” 라는 말 들어보셨죠.
큰형님을 나타내는 중국표현 大哥 dàgē 뒤의 발음기호 ge가 바로[거]입니다.
반면 gěi 이런 발음기호는 [게이]라고 읽는다는 사실.

hei gege ni hao. 어떻게 읽어요?
[헤이 거거 니 하오] (어이. 오빠. 안녕)

세번째 모음 i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i 는 위 a나 e와 규칙 규정이 약간 다릅니다.

여기 i 모음 설명하기 전에 자음에서 ㅈ ㅊ ㅅ 음 표기했던거 생각나는가요?
(물론 날 턱이 없지요...ㅎㅎㅎ. 앞 자음으로 다시 가서 확인해 보세요. 
생각나시는 분께는 죄송합니다만...

j q x
zh ch sh 
z c s

i 는 [이]로 읽을 때와 [으]로 읽을 때가 있는데, 모음 i 가 zh ch sh r z c s 와 결합할 때는 [으]로 소리나고, 그 외의 경우는 원래음인 [이]로 소리납니다. 
꼭 기억하셔야 됩니다. 저는 “의리 7공주”라고 외우게 합니다. “으이 7공주”
[이]로 읽지 않고 [으]로 읽는 “으이 7공주”. [즈츠스르 즈츠스]
소리도 물론 중요하지만 한어병음(영문 발음기호) 글자를 눈에 익혀둬야 합니다.

zhi 즈 chi 츠 shi 스 zi 즈 ci 츠 si 스

그럼 mi 는 어떻게 읽어요?
[므] ? 
i 를 [으]로 읽는 경우는 7가지의 특수경우이고, 나머지는 [이]로 읽어요.
그래서 mi 는 그대로 [미]


네번째 모음 u와 ü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u 는 [우]이고, ü 는 [위]입니다. ü [위]는 주의해야합니다. 우리말의 “위이”가 아니라, 입모양은 “우”로 하고 ‘이’소리를 내는 [위].
아이들 오줌 유도할 때 내는 “쉬” 소리입니다.

[위] 소리가 중국어에는 있는데 영어에는 없어요. 이 소리를 어떻게 표기할까 궁리했겠지요. 그래서 영어에는 없지만, 기타 유럽어에 남아있는 ü를 들여왔습니다.

u와 ü가 만약 자음 l 과 결합한다면 lu는 [루] lü [뤼]로 소리 나겠지요. 
그런데 많은 자음중에서 성격좋은 u 는 거의 모든 자음과 결합하는데, ü 는 까다로워서 딱 여섯 개 자음하고만 결합합니다. 
그 여섯자음이 n l j q x y 입니다.

중국어에서는 " j q x y " 가 모음 “ u ” 와 결합해서 나는 소리인 [주 추 수 위 ]라는 소리 자체가 없습니다. 그런 한자가 없다는 말입니다. 그래서 굳이 u 위에 점 두 개를 찍은 ü 로 표기하느니 점 두 개를 빼고 그냥 u 로 표기하고 읽을 때는 [위] 로 발음합니다.

어렵죠.
이렇게 외우세요. 쥐가 취해서 쉬하네요 위로 ~~
뭔 개소리? 아닙니다. 쥐소리입니다. ㅎㅎ
ju qu xu yu [ 쥐 취 쉬 위 ]

ju qu xu yu 이 네음은 다른 모음과 더 결합해서 u임에도 [위]로 소리나는 모음이 전체 열 여섯 개가 됩니다.

ju 쥐 jue 쥐에 juan 쥐앤 jun 쥔
qu 취 que 취에 quan 취앤 qun 췬
xu 쉬 xue 쉬에 xuan 쉬앤 xun 쉰
yu 위 yue 위에 yuan 위앤 yun 윈

---

가파른 길 넘어왔는데...
발음 습득은 사실 글만 보고는 어렵습니다. 
중국어를 조금이라도 하는 이 옆에 앉아서 물어서 익혀야하고
본인의 소리나는 발음을 꼭 체크해봐야 합니다. 
중국어는 특히요...







[중국어 한마디_5]

위에 정책이 있으면 아래엔 대책이 있다
上有政策 下有對策 
shàng yǒu zhèng cè xià yǒu duì cè 
샹요우 쩡처, 시아요우 뚜이처

중국말에 “上有天堂 下有蘇杭 shàng yǒu tiān táng xià yǒu sū háng” 라는 말이 있다. 하늘에 천당이 있다면, 땅에는 소주와 항주가 있다(蘇杭=蘇州 소주, 杭州 항주)는 말로 소주와 항주의 자연 문화 환경의 우수성을 말합니다. 그러한 식으로 “上有政策 下有對策 shàng yǒu zhèng cè xià yǒu duì cè” 라 하여, ”위에 정책이 있으면 아래에는 대책이 있다” 라고 사용하여 조직의 명령과 실행에 있어 손발이 잘 맞지 않거나 상부에서 지시를 내려도 하부에서는 핑계나 지시대로 이행하지 않음을 나타낼 때 쓰입니다. 
중국의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간의 관계, 고위직과 하위직의 관계 등에서도 자주 보입니다. 뭐 중국만 그러할까? 사람 사는 세상이 다 마찬가지겠지요.




한어병음자모 - 자음 읽기


중국어 글자로 사용하는 한자 자체에는 자음과 모음의 구분이 없습니다.
그 한자를 읽는 소리에만 자음 모음 구분이 있습니다. 
중국어는 영어 알파벳을 발음기호로 빌려왔다고 했습니다.

영어 알파벳 ‘V’ 음을 제외하고 ‘ü’ 음을 
그리고 중국어만의 소리인 sh ch zh를 추가시켜 중국어 소리를 표기합니다.

영어 알파벳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w x y z 
그리고 추가된 소리 ü sh ch zh 총 29 글자 중 자음과 모음이 결합하여 중국어 소리를 냅니다.

우리말에서 자음을 x축에 모음을 y축에 넣어서 서로 만나는 지점에서 
나는 소리가 우리말의 소리입니다. 
자음 모음 결합방식은 중국어도 마찬가지입니다.

자음 소리를 익혀 보겠습니다. 
익히 영문 알파벳에서 알고 있던 그런 음입니다.

bㅂ pㅍ mㅁ fㅍ 
dㄷ tㅌ nㄴ lㄹ 
gㄱ kㅋ hㅎ 
jㅈ qㅊ xㅅ 
zhㅈ chㅊ shㅅ rㄹ 
zㅈ cㅊ sㅅ


자음 소리중에 문제가 있네요. 우리말로는 똑같은 소리가 나는데 글자 모양이 달라요


1> ㅍ : p 와 f의 발음 
p 와 f 모두 ㅍ소리 인데 f는 아랫입술을 윗이로 가볍게 물었다가 
소리내면 됩니다. p는 그래도 편안하게 ㅍ 으로...


2> ㄹ : l r
모두 ㄹ발음이지만 우리가 흔히 하는 ㄹ 과는 약간 다른 소리가 납니다. 
l은 "ㄹ"이 두 개있다고 생각하고 발음합니다. 
"빨래" 라고 했을 때 ‘-래’에서 앞의 영향을 받는 ‘ㄹ’ 소리.
r은 혀 끝을 들어올려 입천정에 닿을 듯하면서 목구멍 쪽으로 더 깊이
넣어서 발음하기.
*주의:기도 안막히게 조심하세요~~ 기도 막히면 죽어요~~


3> ㅈ ㅊ ㅅ 은 각각 세 개씩이나 있네요.
먼저 j q x 는 그냥 편하게 우리식대로 발음하세요. 
(중국어에선 설면음이라고 하여 혀의 면에서 소리난다고 합니다. 
입을 좀 더 옆으로 벌려서 소리낸다고도 합니다)


그리고 zh ch sh 는 r 과 함께 혀를 말아 소리낸다고 하여 
<권설음>이라고 합니다. 혀 끝을 들어올려 입천정에 닿을 듯 말 듯 [즈 츠 스 르]


그리고 마지막 z c s 는 혀끝이 이 뒤에서 
[즈 츠 스] 로 소리내면 되구요.


*** 여러분께 용기를 주는 아주 중요한 한마디.
이해하기도 소리 내기도 힘들죠. 그럼 그냥 생긴대로 하세요.
두 개 있는 ㄹ 소리 틀린다고 잡아가지 않고, ㅈ ㅊ ㅅ 소리 틀린다고 해서 큰 일 나지 않고, 중국인 중에서도 제대로 구분 못하는 사람들 많아요. 
제대로 구분 안해도 말은 통하니 염려마시고 일단은 영문의 발음기호가 우리 소리로 어떻게 나는지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중국어 한마디_4]


허풍 치다
吹 牛 

chuī niú 추이 니우


吹牛皮 (吹 는 불다 라는 동사이고, 소 牛에 가죽 皮) 로도 쓰입니다. 중국 황하 북부지역에서 강을 건널 때 양가죽이나 소가죽에 바람을 넣어 배로 사용했습니다.

두 개를 연이으면 작은 배가 되고, 다시 그것을 여러 개 붙여 꽤 큰 물건도 싣고 다녔다고 합니다.

宋 대의 어떤 한사람이 가죽에 바람 넣기를 잘했나 본데, 내가 입으로 한번 불어버리면 소가죽에 바람이 바로 차버린다 라고 뻥이라도 쳤을까요? 이 유래에 대해 중국자료를 조사했더니 여러 가지가 올라왔는데 다들 믿음직스럽진 않고 단지 소가죽을 배로 사용했다는 공통 설명만 보입니다.

예전에 제가 吹牛를 설명할 때 “자. 모습을 잘 상상해 보라구. 내가 어제 산에서 입으로 소를 불었더니 소가 넘어가지 뭐야...” 라는 말을 했었는데... 악의 없는 허풍에 중국식 吹牛 설명보다 더 리얼하지 않나요?






네 개의 성조 - 1성, 2성, 3성, 4성.

중국어에서 소리의 높낮이를 성조라고 하고, 그 표시를 성조부호라고 말합니다. 
중국어에는 4개의 성조가 있습니다. 
표시는 모음 위에 음이 소리나는 표시대로 붙입니다. 
순서대로 번호를 붙여 1성, 2성, 3성, 4성이라고 말합니다.

mā (妈) / má (麻) / mǎ (马) / mà (骂) 
위 네 개 ma는 모두 [마]라고 읽지만, 모음 위의 성조표시가 다르니 같은 소리의 [마]이지만, 음의 높이가 다르면 뜻도 다릅니다.

1, 2, 3, 4성 소리 내는 법.

1성은 성조 중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소리입니다. 
표시는 모음 위에 - 부호를 올리고요.
기본적으로 1성을 잘 할 수 있어야 거기에 맞춰 다른 성조도 발음할 수 있습니다. 음계로 비유하자면 "솔"음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으며 처음부터 끝까지 "솔"로 발음됩니다.
산토끼 노래 있죠. 1학년 때 배운 노래. 1학년 1성입니다.
1성은 산토끼노래에서 [산--] 음을 길게 늘어뜨려 보세요. 자~~ [사안--] 
다시 [산--].
그것이 바로 1성입니다.
다시 ma로 가서 [마아--]. [마--]. 1성입니다.

2성은 모음 위에 / 부호로 표기합니다. 
우리는 잘 내지 않는 소리인데요. 상대방이 한 얘기를 잘 못아 들을 때 하는 소리 있죠. “뭐? 뭐라구?” 할 때처럼 낮은 소리에서 뒤를 점차 올려보세요. 음계로 비유하면 “미”음에서 “파”를 거쳐 “솔”로 올라가는 음입니다. 무슨 말인지 잘 몰라 물어 볼 때 “네에에?” 
자. 다시 ma로 가서 [마아아]. 자 2성 다시 [마아아]. 몇성? 
2성이요.

3성. 모음위에 ∨ 부호로 표기합니다. 
글로 3성을 인지시킨다는 것은 짝사랑의 심정을 그림으로 그리는 것만큼 고통입니다. 일단은 음계상으론 “레”에서 시작해서 “도”까지 내려갔다가 다시 “파”까지 올라가는 음입니다. 
이해가 잘 안되다가 이해가 딱. 하고 오는 순간 있죠. 그때 우리 입에서 들리는 탄성. “아아아--. 그렇구나.” 할 때 “아아아” 소리의 높낮이 있죠. 
혹은 전화상으로 상대방의 얘기를 듣고 “네에에. 그러십니까?” 
할 때의 “네에에”.

자. 그럼 ma 발음으로 가서 “마아아아”(내렸갔다가 다시 올라오는 소리)
수업할 때는 전 턱을 사용해서 발음해보라고 하는데요.
(턱에서는 소리가 안나니 턱에서 소리내려고 하지 마시구요..)
음이 내려갈 때는 턱을 내렸다가 다시 올라가는 음에서는 턱을 올리는 그런 음. 
3성이 제일 잘 안됩니다. 공통적인 현상이니 자학하지 마시고 많이 연습해 보시기 바랍니다.

이제 마지막 4성입니다. 
표기는 모음위에 \ 로 되어 있습니다.

4성 죽을 사(死)자 생각해서. 꽥! 하고 소리나는 것입니다. 
“솔”음에서 급박하게 밑의 “도”음까지 처리하는 공격용 성조입니다. 공격용이라고 해도 ‘사랑하다’라는 [ai] 또한 4성입니다. [아이]. 하면서 내리 꽂는 사랑입니다. ‘이얍!’하고 기합한번 넣어보세요. 그것이 바로 4성입니다.
자. 'ma 마' 로 해보시죠. [마아아!]






[중국어 한마디_3]


八零后 (80后) 
bā líng hòu 빠링호우


우리나라에도 386세대니 88만원 세대니 하면서 이전 세대와는 좀 다른 독특한 모습을 보이는 특정연령대를 가리키는 용어가 있습니다.

최근 중국에도 "빠링호우(80 후)" 라는 한 세대를 지칭하는 용어가 있는데요. "빠링호우(80后/80後)"란 1980년 이후에 태어난 중국의 현 30대를 말합니다.
가족계획이 실시된 이후 한 가구 한 자녀의 출생 배경과 더불어 개혁개방이후 중국 고속성장의 열매를 맛보고 자란 세대로 기성세대가 `신인류(新人類)`라는 별칭으로 말하듯 기성세대와는 차별되는 자기 중심적인 생활스타일과 사고방식을 보입니다. 자기중심적인 사고방식 - 집단화 되면 문제가 많겠지요. 하물며 중국임에요...





소리의 높낮이 - 성조.

중국어를 소리내는 알파벳 부호를 뭐라고 한다구요?
지난 시간에 했는데...
‘한어병음자모’ 줄여서 ‘병음’ 이라고 한다고 했지요.

그런데 보통 병음에 보면 병음 위로 작대기가 하나씩 있어요.
그것은 소리의 높낮이를 조절해주는 표시 - 바로 성조 부호입니다. 
성조는 모든 한자에 있고, 성조 대로 높낮이가 소리되어야 의미가 전달됩니다. 
그럼 모든 한자의 성조를 다 기억해야 중국어를 하겠네요...

슬프게도 그렇습니다. 
그렇지만 이 또한 습관되면 그냥 입에서 줄줄 나오게 되고, 깨끗하고 정확한 성조이면 좋겠지만 뭐 구렁이 담넘어가듯 해도 듣는 사람이 ‘성조가 개판이군’ 생각하면서 이해는 해줍니다.

東 : 동쪽 동이지요.
중국어 사전 찾으면 dōng 동쪽
앞의 한자 東 东 은 중국어 글자이고, 
아래의 dong 은 발음기호 (한어병음자모) 이며,
dong ‘O’ 위의 ‘-’ 부호는 성조표시 입니다.

* 东은 東 글자의 중국식 간체자 표기입니다. 중국에서는 한자의 번잡스러움을 피하기 위해 걸쳐서 범국가적으로 글자를 간략화 하는 법안을 만들어 시행했는데 그런 글자를 간체자라고 합니다. 간단한 모양의 글자라는 말이죠. 이에 반해 이전부터 쓰던 글자를 번거로운 모양의 글자 그래서 번체자라고 합니다.

东 dōng

“dōng” 어떻게 읽어요?
d는 ㄷ, o는 ㅗ, ng 는 ㅇ해서 [동]이라고 읽습니다. 
그런데 o위에 부호표시 ō 보이죠. 이것이 음의 높이 표시 성조로 높고 평탄한 소리로 읽어줘야합니다. 
dōng는 [똥] 소리가 나요. [또오옹~~~].




+ Recent posts